V차트 우량주 분석

[V차트 우량주] 대상, '청정원' 브랜드 식품 회사

단독 [아이투자 강현정]
편집자주 | V차트(Value Chart) 우량주는 재무분석 도구인 'V차트'를 통해 실적과 재무 안전성이 우량한 기업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V차트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재무분석 도구로 재무제표를 차트로 분석할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대상은 '청정원' 브랜드로 유명한 식품 회사다. 순창고추장, 햇살담은간장, 미원 등 발효식품을 주력으로 만든다. 특히 미원류 제품은 96.7%를 점유해 국내 시장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다. 장류 제품의 시장점유율은 38.9%다. 또한 옥수수를 원료로 전분과 전분당도 생산하고 있다.

이밖에 종속기업 등을 통해 식품도매업, 무역업 등을 한다. 지난해 말 기준 대상이 보유하고 있는 종속기업은 총 17곳이다.



▷ 2009년부터 실적 개선

대상의 실적은 2009년부터 개선되기 시작했다. 이는 2005~2008년에 걸친 구조조정 영향으로 풀이된다. 대상은 이 기간 동안 수익성이 낮은 품목을 자회사인 대상FNF로 이관하거나 생산을 중단했다. 또한 영업망 통·폐합과 유휴공장 매각을 통해 조직을 개편했고, 인력을 감축했다.

구조조정 초기 매출감소가 불가피했다. 2004년 1조3546억원이던 매출액은 2005년 1조301억원으로 24% 줄었다. 하지만 2009년부터 체질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2008년 9203억원이던 매출액은 지난해 1조5703억원으로 5년 동안 70% 늘었다. 같은 기간 이익의 증가폭은 더욱 컸다. 영업이익은 444억원에서 1181억원으로 166% 급증했고, 연결 지배기준 순이익은 -38억원에서 1095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이는 원재료인 옥수수값이 하락한 덕분으로 보인다. 대상의 주요 원재료는 옥수수로 전체 매입액의 63%를 차지한다. 옥수수는 카길(Cargill), 글렌코어(Glencore) 등 세계 곡물 메이저 회사로부터 대부분 수입한다. 이에 원/달러 환율과 원료인 옥수수 가격이 이익에 큰 영향을 준다.

국제 옥수수가격은 지난 2011년 급등했다. 이에 대상도 주요 제품가격을 인상했다. 이후 옥수수가격은 하락한 반면, 제품 가격은 소폭 인상을 이어갔다. 특히 올해 1분기 옥수수가격이 급락하는 가운데 제품가격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결과, 영업이익률이 10%로 높아졌다.

일반적으로 음식료 기업은 원재료 가격 상승 → 제품가 인상 → 원재료 가격 하향 안정 → 제품가 유지 →이익 급증의 과정을 거치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 대표 음식료 기업들은 국내 시장 점유율이 높은 편이기 때문이다. 즉 원재료 가격 변동을 시차를 두고 단계적으로 제품가격에 반영하고, 원재료 가격 하락 시에도 제품가격을 유지해 이익을 내는 구조다. 미원류와 장류 제품에서 높은 점유율을 가진 대상 또한 최근 매출액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에도 이익이 늘어나는 이유다.

한편 옥수수가격은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BOT) 기준 옥수수 선물 7월물 가격은 3일(현지시각) 전일 대비 0.29% 내린 부셸당 4.172달러를 기록했다. 

▷ 이익은 현금(당좌자산)으로 차곡차곡

2009년부터 이익이 늘어나면서 당좌자산(파란색 선)도 증가하고 있다. 반면 유형자산은 2011년 이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즉, 큰 규모의 시설투자가 이뤄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한편 2011년 유형자산이 줄어든 이유는 유형자산 중 일부가 금융리스로 분류된 결과다.



투자자산도 늘어났음을 알 수 있다. 2008년 1807억원이던 투자자산은 올해 1분기말 2599억원으로 증가했다. 투자자산의 대부분은 자회사다. 올해 1분기 투자자산 중 자회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90%다. 자회사의 실적은 대상의 순이익에 영향을 준다.
대상의 영업외손익률 그래프를 보면 영업외손익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은 크지 않다. 이에 대상의 영업외손익 대부분은 자회사 영향이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2008년에는 대상의 영업이익이 늘었음에도 지분법손실 136억원이 발생해 순이익은 적자를 기록한 바 있다.

* IFRS 도입으로 지분법손익이 기록되지 않아, 영업외손익 그래프에 자회사 항목은 표시되지 않는다.

▷ 주당순이익 따라 주가도 ↑

실적이 개선되면서 대상의 주가도 상승했다. 2009년 2분기 -1217원이던 대상의 주당순이익은 올해 1분기 말 기준 3402원으로 늘었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이던 주가는 이후 상승하기 시작, 약 3년 반동안 주가상승률은 7배에 달한다.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소맥, 옥수수, 대두박 등 곡물가격 상승·하락 관련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곡물가 하락으로 미국 농부들이 울상 지을 때, 반대편 나라에선 웃는 이들이 있다. 바로 곡물을 원재료로 이용해 제품을 만드는 기업들이다.

곡물 가격은 주요 곡물 생산 국가들의 작황에 따라 움직인다. 가뭄이나 자연재해로 생산량이 줄면 곡물 가격이 상승하고, 작황이 좋으면 생산량이 늘어 곡물 가격이 하락한다. 만약 가격이 오르면 곡물을 원재료로 사용하는 기업들의 원가율이 상승해 수익성이 악화된다.

하지만 이후 곡물 가격이 하락하면 제품가는 그대로 유지돼 영업이익이 증가한다. 원재료 급등 → 제품가 인상 → 원재료가 하락 → 제품가 유지 → 이익 급증의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현 시점의 곡물 선물 가격은 약 5~6개월 후 기업들의 원재료 매입단가에 반영된다.

최근 국내 기업들은 곡물 자급률이 내리면서 수입의존도가 과거보다 높아졌다. 환율을 더욱 눈여겨 봐야 하는 이유다. 한국의 식량자급률(사료곡물 포함)은 지난 1990년 43% 수준이었으나, 2000년 30%, 지난해 23%까지 하락했다. 쌀을 제외하면 고작 3.4%에 불과하다. 한국의 곡물자급률(쌀 포함)은 OECD 34개 국가 중 28위 수준이다.

[곡물 가격 관련주]
-사료 및 제분(옥수수, 소맥 등): 동아원
-제분(소맥): CJ제일제당, 대한제분
-전분당(옥수수): 삼양제넥스, 대상
-유지류(대우유 등): 롯데푸드, 사조해표

[소맥, 옥수수, 대두박 등 곡물가격 상승·하락 관련주] 관련종목

주가 : 7월 7일 종가 기준
종목명 현재가 전일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PER PBR ROE
대한제당 37,350원 0원 (0%) 2,727 88 62 17.7 0.63 3.6%
선진 40,250원 0원 (0%) 1,376 100 79 9.4 2.15 22.9%
고려산업 2,955원 0원 (0%) 449 26 23 11.2 1.08 9.6%
영남제분 2,365원 0원 (0%) 194 -15 -25 N/A 1.10 -7.7%
한일사료 1,560원 0원 (0%) 329 11 10 15.1 0.91 6.1%
우성사료 3,785원 0원 (0%) 706 20 9 16.8 0.68 4.1%
동아원 3,155원 0원 (0%) 1,164 39 -7 N/A 1.45 -0.5%
케이씨피드 2,500원 0원 (0%) 227 2 -10 40.9 0.64 1.6%
팜스토리 2,160원 0원 (0%) 1,017 74 40 12.6 1.44 11.4%
이지바이오 7,400원 0원 (0%) 257 50 85 15.5 1.56 10%
팜스코 15,150원 0원 (0%) 1,979 63 34 27.3 2.20 8.1%
씨티씨바이오 14,550원 0원 (0%) 243 6 -3 N/A 2.73 -0.9%
삼양사 62,300원 0원 (0%) 3,069 69 76 12.2 0.64 5.2%
백광산업 3,135원 0원 (0%) 710 -64 -96 N/A 0.64 -28.3%
삼양제넥스 142,000원 0원 (0%) 910 111 85 9.4 0.80 8.6%
대상 49,650원 0원 (0%) 3,896 395 311 13.9 2.39 17.2%
대한제분 197,500원 0원 (0%) 943 100 108 11.1 0.55 5%
CJ제일제당 351,000원 0원 (0%) 11,509 1,032 503 35.2 1.58 4.5%
롯데푸드 731,000원 0원 (0%) 3,835 145 135 14.6 1.28 8.7%
사조해표 17,300원 0원 (0%) 1,656 63 65 5 1.20 0%
* 기간 : 2014년 1월~3월 누적, 단위는 억원,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대상]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청정원' 브랜드를 보유한 종합식품업체
사업환경 ▷ 외식산업의 증대, 식생활 개선등으로 꾸준한 수요 창출
▷ 웰빙 열풍 등의 영향으로 프리미엄 제품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
▷ 타산업에 비대 브랜드 충성도가 높음
경기변동 ▷ 생필품으로 분류되며 수요가 경기에 비탄력적임
▷ 전형적인 내수산업으로 글로벌 경기에 둔감
주요제품 ▷ 조미료, 식품첨가물 : 청정원, 미원 등 (44%)
감칠맛미원 (Kg/원, 11년 1만6600원 → 12년 1만7300원 → 13년 1만7300원 → 14년 1만7300원)
▷ 식품 소재 : 전분, 당, 핵산 등 (18%)
전분당 (11년 54만원 → 12년 54만원 → 13년 54만원 → 13년 52만원)
*괄호안은 연결기준 매출 비중 및 가격 추이
원재료 ▷ 옥수수 (63%, 11년 38만735원 → 12년 34만9618원 → 13년 34만7564원 → 14년 26만9643원)
*괄호안은 연결기준 매입 비중 및 가격 추이
실적변수 ▷ 제품가 인상 및 국제 농산물(옥수수·원당·당밀 등) 시세 하락시 수혜
▷ 해상운임비, 환율 하락시 수혜
▷ 프리미엄 제품 비중 확대시 수혜
리스크 ▷ 원자재가격 인상시 수익성 악화
▷ 환율 상승시 환차손 발생
신규사업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대상의 정보는 2014년 06월 19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대상]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4.3월 2013.12월 2012.12월 2011.12월
매출액 3,896 15,703 15,525 13,929
영업이익 395 1,181 1,038 901
영업이익률(%) 10.1% 7.5% 6.7% 6.5%
순이익(연결지배) 311 1,095 914 555
순이익률(%) 8% 7% 5.9% 4%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13.94
이시각 PBR 2.39
이시각 ROE 17.17%
5년평균 PER 10.29
5년평균 PBR 1.10
5년평균 ROE 8.69%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대상]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임창욱친족보통주389,4251.13401,9251.17변동
임창욱친족우선주43,0323.1443,0323.141우선주
임창욱친족우선주7,7453.277,7453.273우선주
대상문화재단공익법인보통주1,324,9573.851,324,9573.85-
대상홀딩스계열회사보통주13,599,55639.5213,599,55639.52-
대상홀딩스계열회사우선주89,0006.4989,0006.491우선주
대상홀딩스계열회사우선주8,9003.768,9003.763우선주
보통주15,313,93844.5015,326,43844.54-
우선주148,6779.25148,6779.25-
[2014년 5월 30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