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부 정책 따라 실적 개선
업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자전거 보급률 및 자전거 교통분담률은 OECD 국가 중 가장 낮다. 이는 자전거도로나 자전거 보관시설 같은 관련 인프라가 적은데다 차량위주 교통제도가 발달한 영향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자전거 시장은 정부 정책에 영향을 받는다.
정부는 2010년부터 자전거 관련 인프라에 본격적으로 투자하기 시작했다. 2010년부터 행정안전부는 '10대 자전거 거점 도시' 대상 지역을 선정, 자전거 이용 인프라 구축에 나섰다. 자전거 거점 도시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자전거 도로, 공공자전거, 자전거 주차장, 안전 문화 등 4개 항목을 조성하기 위해 3년간 각 도시별로 100억씩, 총 1000억원 예산이 투입됐다.
삼천리자전거 매출액도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했다. 2010년 733억원이던 매출액은 2011년 898억원으로 22% 늘었다. 2012년에는 1090억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1000억원을 넘어섰다. 자전거 관련 투자가 끝난 뒤인 지난해는 1108억원으로 약 2% 늘어났다.
매출이 늘어나면서 고정비 효과로 판관비율은 낮아졌다. 같은 기간 매출원가율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이에 따라 영업이익은 2010년 37억원에서 지난해 86억원으로 132% 증가했다.


향후 투자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 삼천리자전거 전망은 긍정적으로 보인다. 이트레이드증권에 따르면 2020년까지 신도시 등을 중심으로 하는 자전거길 2117㎞가 추가 설치될 예정이다.
▷ 2009년 유형자산 & 투자자산 증가
자산구조지수를 보면 2009년 삼천리자전거의 유형자산이 크게 늘어났음을 알 수 있다. 시설투자를 단행한 결과다.
국내 인건비 등이 오르면서 자전거 업체들은 중국 등 해외에서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으로 방식으로 생산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대부분 자전거 업체는 해외에서 생산된 자전거를 국내에서 판매하기 시작했다. 이런 가운데 삼천리자전거는 2009년 생산공장을 설립, 2010년부터 생산하기 시작했다.
2009년 참좋은레져 지분을 추가 취득한 결과 투자자산도 늘었다. 2008년 17.67%이던 참좋은레져 지분율은 2009년 33.62%로 늘었다. 올해 1분기 기준 지분율은 38.02%다.
2010년부터 여행사업부문 매출액이 늘어나면서 참좋은레져의 실적은 개선되기 시작했다. 2009년 468억원이던 매출액은 지난해 713억원으로 52% 늘어났다. 같은 기간 순이익은 -57억원에서 50억원으로 증가했다(관련기사 ☞ [V차트 우량주] 참좋은레져, 여행사업으로 성장). 이 결과 삼천리자전거의 지분법이익도 1억원에서 18억원으로 늘었다.


한편 주주자본구조 그래프를 보면 2009년 자본총계와 주주(자본금+자본잉여금)이 대폭 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설투자와 투자자산 취득에 필요한 자금을 증자를 통해 조달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실제 삼천리자전거는 2009년 유·무상증자를 단행했다.
▷ 순이익률 개선으로 ROE ↑
삼천리자전거의 자기자본이익률(ROE)는 2012년부터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순이익률이 개선된 덕분이다.


자기자본이익률은 자산회전율, 재무레버리지, 순이익률의 곱으로 분해할 수 있다. 2011년 말 1.32%이던 순이익률은 올해 1분기 말 8.27%로 높아졌다. 같은 기간 총자산회전율은 1.02배에서 0.93배로 낮아졌음에도 ROE가 높아진 이유다. 재무레버리지가 1.23배에서 1.43배로 높아진 점도 ROE 상승에 영향을 줬다.
▷ 이익과 주가 동반 상승
2012년부터 순이익이 개선되기 시작하자 주가도 같이 올랐다. 2011년 말 617이던 순이익지수는 올해 1분기 4798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주가는 약 180% 상승했다.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웰빙(레저+아웃도어) 업계]
[한국투자교육연구소] 웰빙(Well-being)은 행복, 삶의 만족, 질병이 없는 상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여행 및 레저스포츠 등을 통해 삶의 여유를 지니고 명상과 관련된 운동을 통해 건강을 추구한다.
국민소득 증가로 여가를 중시하고 가치 있게 활용하고자 하는 욕구가 더욱 증가해 다양한 여가활동 및 관련 소비지출도 증가하고 있다. 야외 활동 인구가 늘어나면서 레저용 상품과 아웃도어 관련 시장이 빠르게 성장했다. 기존 4-50대 남성에서 여성, 다양한 연령층으로 소비자가 확대돼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이 출시됐다.
아웃도어 매출 구성은 의류 46%, 용품 39%, 신발 15% 순이다.
[레저 주요 기업]
대륙제관: 터지지 않는 부탄가스 출시
라이브플렉스: 레저용 텐트 사업과 온라인 게임 개발
삼천리자전거: 자전거 제조 1위
참좋은레져: 고급자전거, 여행사업 영위
알톤스포츠: 국내 2위 자전거 회사
[아웃도어 주요 기업]
LG패션: 프랑스 브랜드 라푸마(Lafuma) 국내 도입.
코오롱인더: 패션사업부 코오롱스포츠가 국내 자생 브랜드 중 매출 1위
영원무역홀딩스: 국내 아웃도어 1위 노스페이스 한국 영업권 보유
영원무역: 아웃도어 위탁생산(OEM)
LS네트웍스: 일본 브랜드 몽벨의 국내 총판
효성: 기능성 원사(실) 생산, 아웃도어 의류용 공급
코오롱FM(상장예정): 기능성 원사 생산
국민소득 증가로 여가를 중시하고 가치 있게 활용하고자 하는 욕구가 더욱 증가해 다양한 여가활동 및 관련 소비지출도 증가하고 있다. 야외 활동 인구가 늘어나면서 레저용 상품과 아웃도어 관련 시장이 빠르게 성장했다. 기존 4-50대 남성에서 여성, 다양한 연령층으로 소비자가 확대돼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이 출시됐다.
아웃도어 매출 구성은 의류 46%, 용품 39%, 신발 15% 순이다.
[레저 주요 기업]
대륙제관: 터지지 않는 부탄가스 출시
라이브플렉스: 레저용 텐트 사업과 온라인 게임 개발
삼천리자전거: 자전거 제조 1위
참좋은레져: 고급자전거, 여행사업 영위
알톤스포츠: 국내 2위 자전거 회사
[아웃도어 주요 기업]
LG패션: 프랑스 브랜드 라푸마(Lafuma) 국내 도입.
코오롱인더: 패션사업부 코오롱스포츠가 국내 자생 브랜드 중 매출 1위
영원무역홀딩스: 국내 아웃도어 1위 노스페이스 한국 영업권 보유
영원무역: 아웃도어 위탁생산(OEM)
LS네트웍스: 일본 브랜드 몽벨의 국내 총판
효성: 기능성 원사(실) 생산, 아웃도어 의류용 공급
코오롱FM(상장예정): 기능성 원사 생산
[웰빙(레저+아웃도어) 업계] 관련종목
주가 : 7월 3일 오후 13시 20분 현재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LF | 27,350원 | ▲200원 (0.7%) | 3,418 | 244 | 147 | 11.6 | 0.86 | 7.5% |
코오롱인더 | 73,000원 | ▲100원 (0.1%) | 9,673 | 458 | 339 | 14.6 | 1.00 | 6.9% |
영원무역홀딩스 | 80,000원 | ▼400원 (-0.5%) | 186 | 180 | 174 | 13.3 | 1.78 | 13.4% |
영원무역 | 44,850원 | ▼50원 (-0.1%) | 2,129 | 127 | 206 | 17.2 | 2.28 | 13.3% |
LS네트웍스 | 4,595원 | 0원 (0%) | 1,705 | 50 | 22 | N/A | 0.47 | -3.8% |
효성 | 66,700원 | ▼1,000원 (-1.5%) | 19,363 | 277 | -94 | N/A | 0.93 | -8.9% |
대륙제관 | 6,760원 | ▲40원 (0.6%) | 495 | 15 | 9 | 46.9 | 1.73 | 3.7% |
라이브플렉스 | 1,415원 | ▲5원 (0.4%) | 115 | 1 | 6 | N/A | 1.22 | -41.7% |
삼천리자전거 | 19,550원 | ▼100원 (-0.5%) | 263 | 21 | 23 | 28.3 | 3.12 | 11% |
알톤스포츠 | 6,630원 | ▲790원 (13.5%) | 125 | 13 | 13 | 19.5 | 1.38 | 7.1% |
* 기간 : 2014년 1월~3월 누적, 단위는 억원,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삼천리자전거]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 '레스포' 브랜드로 유명한 자전거 제조업체 |
---|---|
사업환경 | ▷ 정부의 자전거 산업 육성과 레저 수요 증가로 자전거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 ▷ 국내 완성차 및 부품업체는 국내생산을 포기하고 대부분 중국, 대만에서 OEM 방식으로 수입 |
경기변동 | ▷ 경기변동에 둔감 |
주요제품 | ▷ 자전거 (매출 비중 100%) |
원재료 | ▷ 자전거 부품 (매입 비중 100%) |
실적변수 | ▷ 3월~10월 자전거 판매량 증가 ▷ 유가 상승시 자전거 수요 증가 ▷ 정부의 친환경 정책 채택 시 수혜 |
리스크 | ▷ 높은 해외 의존도 (부품들을 해외에서 수입 후 조립하는 구조) |
신규사업 |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삼천리자전거의 정보는 2014년 06월 11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삼천리자전거]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삼천리자전거] 주요주주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기 초 | 기 말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김석환 | 본인 | 보통주 | 3,602,862 | 27.14 | 3,602,862 | 27.14 | - |
김상문 | 부 | 보통주 | 148,656 | 1.12 | 148,656 | 1.12 | - |
계 | 보통주 | 3,751,518 | 28.26 | 3,751,518 | 28.26 | - | |
우선주 | 0 | 0 | 0 | 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