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차트 우량주 분석

[V차트 우량주] 원익QnC, 쿼츠웨어 생산 및 세정업체

단독 [아이투자 강현정]
편집자주 | V차트(Value Chart) 우량주는 재무분석 도구인 'V차트'를 통해 실적과 재무 안전성이 우량한 기업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V차트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재무분석 도구로 재무제표를 차트로 분석할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원익QnC는 2003년 원익의 반도체용 석영용기(쿼츠 웨어, Quartz ware) 사업부문이 인적 분할돼 설립된 회사다. 반도체용 석영유리는 반도체 제조공정 중 웨이퍼(Wafer)를 불순물로부터 보호하거나 운반할 때 사용하는 용기다. 제조공정별로 수명이 1개월 ~ 12개월인 소모품으로 반도체 생산량·생산라인 증설에 따라 수요가 결정된다. 올해 1분기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9%다. 이외 반도체세정 12%, 세라믹 9%, 램프 1%씩 차지하고 있다.

▷ 쿼츠웨어 국내 1위 업체, 세정사업부문도 성장

2008년 금융위기 여파로 반도체 경기가 침체되면서 원익QnC의 실적도 부진해졌다. 하지만 2010년부터 스마트 기기를 중심으로 IT 수요가 회복되면서 다시 실적이 개선됐다. 2011년 ~ 2013년까지 세계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에 따르면 면적 기준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88억MSI를 유지했다(MSI=백만 제곱인치).

최근 원익QnC의 매출 성장은 세정부문이 이끌고 있다. 세정공정은 반도체·LCD의 소재부품 또는 장비의 오염을 제거해주는 용역 서비스다. 삼성전자가 핵심 공정에 역량을 집중하기 위해 비핵심 공정의 외주를 늘리면서 원익QnC가 수혜를 입게 됐다. 2011년 하반기 삼성전자로부터 품질 승인을 완료해 매출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2011년 13억원이던 세정공정 매출액은 지난해 123억원으로 대폭 늘었다. 이 결과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에서 10%로 높아졌다.



▷ 차입금으로 시설투자, 이자보상배율은 높아

이전 300억원 미만이던 원익QnC의 차입금은 2010년 478억원으로, 2011년에는 540억원으로 대폭 늘었다. 전체 자산에서 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도 43%까지 높아졌다. 설비투자를 진행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원익QnC는 2010년 반도체용 석영유리 생산능력 증대를 위해 49억원을, 2011년 9월에는 반도체 세정 사업에 진출하기 위해 140억원을 투자했다. 이 결과 원익QnC의 생산능력은 2010년 730억원에서 지난해 1040억원으로 42% 증가했다.

이익축적지수 그래프에서도 2010년부터 유형자산이 늘었음을 볼 수 있다. 한편 2011년 투자자산이 크게 줄었는데 이는 한국채택회계기준(IFRS)가 도입되면서 일부 관계기업투자주식을 조정한 결과다.

.

이후 설비투자가 일단락되면서 차입금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올해 1분기 말 기준 차입금은 553억원, 차입금비중은 37.4%다. 차입금이 높지만 1분기 연환산 기준(최근 4분기 합산) 이자보상배율이 8.6배로 현재 이자 지급에는 문제가 없다. 이익이 급감했던 2009년에도 이자보상배율은 4.4배를 기록했다.

▷ 주당순이익, 주당순자산 & 주가가 동반 상승

최근 순이익이 개선되면서 올해 1분기 원익QnC의 주당순이익은 809원으로 2013년 2분기 155원 대비 5배 가량 늘었다. 주당순자산은 6049원에서 6502원으로 7% 늘었다. 같은 기간 주가는 41% 올랐다.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익QnC]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반도체 공정용 석영제품(쿼츠 웨어) 국내 1위 제조사. 반도체, LCD용 세라믹스도 생산
사업환경 ▷ 스마트폰, 태블릿PC 수요증가로 낸드플래시 시장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
▷ 주 매출처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경쟁력 강화 위해 반도체 투자를 지속할 전망
경기변동 ▷ 전방산업(반도체 제조) 경기에 크게 영향을 받음
▷ 1개월~12개월 마다 수요가 발생하는 소모품으로 반도체 장비업체에 비해선 경기변동에 덜 민감
주요제품 ▷ 석영: 반도체용 석영유리 (77%)
▷ 세라믹: LCD 등 부품 (12%)
▷ 세정 : 반도체 소재부품 또는 반도체장비의 오염을 제거(10%)
*괄호안은 매출 비중
원재료 ▷ 석영: 반도체용 석영유리 (95%)
*괄호안은 매입 비중
실적변수 ▷ 웨이퍼 생산량 증가시 수혜
▷ 반도체 생산업체들의 시설투자 확대시 수혜
리스크 ▷ 2013년 자회사 원익엘앤디(지분율 40%), 미국법인(지분율 93%)이 적자 기록
- 순이익 적자 규모 : 원익엘앤디 44억원, 미국법인 46억원
▷ 차입금 비중이 40%에 육박해 매분기 점검이 필요함
신규사업 해당사항없음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원익QnC의 정보는 2014년 04월 22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원익QnC]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4.3월 2013.12월 2012.12월 2011.12월
매출액 246 861 805 774
영업이익 51 147 142 154
영업이익률(%) 20.7% 17.1% 17.6% 19.9%
순이익(연결지배) 38 67 45 135
순이익률(%) 15.4% 7.8% 5.6% 17.4%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14.78
이시각 PBR 1.82
이시각 ROE 12.33%
5년평균 PER 16.03
5년평균 PBR 1.11
5년평균 ROE 8.02%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원익QnC]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이용한본인보통주5,303,95041.87 5,303,95041.05 -
이문용임원보통주220,000 1.74 220,000 1.70 -
박근원임원보통주0060,0000.46 -
보통주5,523,95043.615,583,95043.21-
우선주- - - - -
[2013년 12월 31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