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차트 우량주 분석

[V차트 우량주] 빙그레, '바나나맛우유'

단독 [아이투자 강현정]
편집자주 | V차트(Value Chart) 우량주는 재무분석 도구인 'V차트'를 통해 실적과 재무 안전성이 우량한 기업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V차트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재무분석 도구로 재무제표를 차트로 분석할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빙그레는 1967년 대일양행으로 시작한 회사다. 창업주인 홍순지 사장은 1960년대 월남에서 아이스크림을 만들어 미군에 군납해온 경험을 살려 회사를 세웠다. 1974년 국내 최초로 생우유를 넣은 고급 아이스크림 ‘투게더’를, 같은 해 6월 단지 모양의 ‘바나나맛 우유’를 출시했다. 지난 10일 언론에 따르면 바나나맛우유의 누적 생산량은 60억개를 넘어섰다. 빙그레 바나나맛우유는 출시된 지 40년이 됐지만, 여전히 바나나우유 시장의 80%를 차지하며 1일 평균 약 80만개씩 팔리고 있다.

1981년에는 프랑스 소미다(SOMIDA)와 제휴하면서 국내 최초로 떠먹는 요구르트 ‘요플레’를 1983년에 출시하면서 사업영역을 발효유로 확장했다. 1985년 일본 닛신(Nissin)과 제휴해 라면도 생산했지만, 2003년에 철수했다. 2008년에는 ‘아카페라’를 출시하면서 커피시장에도 진출했다.

▷ 높은 인지도로 안정적인 매출

다른 제품들에 비해 음·식료 제품은 시장에 정착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 하지만 한번 소비자에게 인식된 제품은 꾸준히 판매된다. 빙그레는 인지도 높은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어 안정적인 매출을 유지한다.



특히 빙그레의 제품은 출시한지 30년이 지난 장수 식품이 많다. 대표 제품인 '바나나맛우유'는 출시한 지 40년이 지났다. 투게더, 비비빅 등 아이스크림류도 마찬가지다.

이 덕분에 빙그레는 다른 음·식료 업체 대비 가격 전가력이 뛰어나다. 빙그레는 원유가격이 오른 후 약 2개월 ~ 3개월 후에 제품가격을 인상한다. 또한 주력 제품이 원유 비중이 낮은 가공유인 점도 긍정적이다. 이 결과 빙그레의 매출원가율은 동종업체 대비 낮다.



여기에 인지도가 높아 마케팅이나 광고를 상대적으로 덜 해도 매출액이 유지가 된다. 이런 영향인지 빙그레의 판관비 비중 또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 결과 빙그레의 영업이익률은 다른 유제품업체에 비해 높은 수준에 형성돼 왔고, 지난해 6%를 기록했다.



꾸준히 늘어난 매출액과 달리 이익은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빙그레의 이익이 감소한 시기는 2006년, 2011년 그리고 지난해다. 이는 대부분 원유 가격이 인상된 시기다. 원유가격 인상과 제품가격 인상 시차가 존재한 결과로 풀이된다.

▷ 재무안전성 & 자산구조 ‘우량’, 현금창출력 ‘양호’

빙그레의 부채비율은 꾸준히 낮아지고, 유동비율은 높아졌다. 지난해 말 부채비율은 20%, 유동비율은 410%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이 100% 미만이고, 유동비율은 100% 이상이면 재무 안전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자산구조도 우량한 기업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기자본 - 기자본 - 정자산 순서로 배열돼 있으며, 장기자본과 자기자본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특히 장기자본과 자기자본이 거의 차이가 없다. 이는 비유동부채(장기부채)를 별로 쓰지 않고, 자기자본 만으로도 고정자산 투자를 감당할 수 있다는 의미다. 2004년 1910억원이던 고정자산은 지난해 2679억원으로 증가했다.

 

현금창출력 또한 양호하다. 빙그레의 영업활동현금흐름은 (+)를, 재무활동현금흐름과 투자활동현금흐름은 꾸준히 (-)를 기록해왔다. 우량기업의 모습이다.



▷ ROE와 주가 동반 하락

빙그레의 자기자본이익률(ROE)는 꾸준히 낮아지고 있다. 자기자본이익률은 자산회전율, 재무레버리지, 순이익률의 곱으로 분해할 수 있는데, 현금이 쌓이면서 자산회전율이, 부채 감소로 재무레버리지가 지속적으로 낮아진 영향이다. 2004년 1.8%이던 자산회전율은 지난해 1.4%로, 같은 기간 1.54배이던 재무레버리지도 1.21배로 낮아졌다.

여기에 6%를 유지하던 순이익률이 4%대로 낮아지면서 최근 ROE는 더욱 낮아졌다. 이는 지난해 매출이 소폭 성장한 반면, 원유가격 인상과 제품가격 인상이 2개월 정도 차이가 발생해 매출원가율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2013년 이후 주가는 부진했다. 주가순자산배수(PBR)는 3.14배에서 1.68배까지 낮아졌다. 수출부진 우려감이 반영된 영향이다. 실제로 2012년 84% 급증했던 빙그레의 수출액은 지난해 6% 늘어나는데 그쳤다.



▷ 1분기 실적 개선 & 증권사 투자의견 상향

빙그레의 올해 1분기 별도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 늘어난 1675억원을, 영업이익은 26% 줄어든 24억원을 기록했다. 연결 지배기준 순이익은 54% 늘어난 27억원을 기록했다. 기타영업외비용이 75%, 법인세비용이 60%씩 줄어든 덕분이다.

이런 가운데 전일(16일) 신영증권은 빙그레의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했다. 목표주가로는 9만5000원을 제시했다. 이유로는 ▲ 수출이 꾸준히 증가한 점 ▲ 가공유가 주력제품이므로 원료 초과매입 분산이 가능한 점 ▲ 수요회복으로 실적 개선이 기대되는 점 등을 꼽았다.

지난 해 성장률이 둔화되긴 했지만, 빙그레의 수출액은 꾸준히 늘었다.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08년 3%에서 지난해 6.5%까지 높아졌다. 올해 1분기 수출비중은 6.9%다.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빙그레]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바나나맛 우유, 메로나 등으로 유명한 유가공 제품 전문업체
사업환경 ▷ 국민 소득수준 향상으로 유기농제품 등 고부가가치 제품 관심이 증대됨
▷ 식품 산업은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편으로 경쟁심화에 따라 브랜드 인지도늘 높이려는 노력중
▷ 빙그레는 유음료 및 아이스크림 부문에서 국내 인지도가 높은 편
경기변동 ▷ 경기 변동 영향은 적음
▷ 여름철에 매출이 늘고 겨울철에 매출이 감소하는 계절적 요인 존재
주요제품 ▷ 냉장 품목군: 우유 및 유음료 (66%)
바나나우유 (단위당 11년 573원 → 12년 630원 → 13년 668원 → 14년 1분기 668원 )
▷ 냉동 및 기타: 아이스크림 및 기타 (35%)
참붕어싸만코클래식 (단위당 12년 520원 → 13년 520원 → 14년 1분기 520)
*괄호안은 매출 비중 및 가격 추이
원재료 ▷ 원유(Raw Milk) : 낙농진흥회, 목장 등에서 매입
(단위당 11년 894원 → 12년 977원 → 13년 1026원 → 14년 1분기 1082)
실적변수 ▷ 기온 상승, 강우량 감소시 빙과류 매출 증가
▷ 제품 단가 상승 및 원유 값 하락시 수혜
▷ 해외 시장 확대시 매출 성장
리스크 원재료인 원유 가격 상승 추세
신규사업 ▷ 중국으로 제품(바나나 우유 등) 수출 증가 추세
▷ 러시아에 제품생산 공장 설립 예정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빙그레의 정보는 2014년 05월 30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빙그레]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4.3월 2013.12월 2012.12월 2011.12월
매출액 1,675 8,051 7,891 7,206
영업이익 24 507 668 502
영업이익률(%) 1.4% 6.3% 8.5% 7%
순이익(연결지배) N/A 379 508 420
순이익률(%) N/A 4.7% 6.4% 5.8%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20.64
이시각 PBR 1.68
이시각 ROE 8.15%
5년평균 PER 16.29
5년평균 PBR 1.76
5년평균 ROE 12.21%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빙그레]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김호연최대주주보통주3,276,76233.263,276,76233.26-
김 미친인척보통주133,1201.35133,1201.35-
재단법인
김구재단
공익법인보통주200,0002.03200,0002.03-
케이엔엘
물류(주)
계열회사보통주167,3001.70167,3001.70-
재단법인
아단문고
공익법인보통주12,2000.1312,2000.13-
보통주3,789,38238.473,789,38238.47-
우선주0000-
[2014년 3월 31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