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0월부터 약 6개월간 3배 상승해 3월 21일 사상 최고가인 2만5450원까지 급등했지만, 이후 하락세가 지속돼 전일 최고가 대비 23% 내린 1만95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증시 반등으로 대부분 종목이 상승하는 가운데 이틀 연속 '나홀로' 하락세다.
유진테크는 앞으로도 양호한 실적 성장세를 지속할 수 있을까. 그리고 이와 함께 주가도 상승세로 복귀할 수 있을까.
◆ 반도체 공정 미세화 수요 증가…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

이는 외부적 호재와 내부적인 역량이 결집된 결과로 분석된다. 2008년 새로운 장비의 개발로 기술적 발판을 마련한 가운데 2009년 이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미세화 공정 중심의 설비투자 증가로 주력 장비인 '저압 화학기상증착 장비'의 수주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다. 특히 2010년 이후 스마트 기기 중심의 IT 수요 증가로 반도체 제조 기업들의 투자가 활성화돼 장비수주에 탄력이 붙었다.
올해 1분기에도 양호한 실적 성장세가 이어졌다. 매출액은 752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46%, 영업이익은 186억원으로 197%, 순이익은 150억원으로 194% 늘었다. 매출과 이익 모두 2010년 한해 실적과 맞먹는 규모다.
증권가에 따르면 앞으로도 양호한 실적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4일 토러스투자증권은 올해 매출액이 2260억원으로 72%, 영업이익은 580억원으로 81%, 순이익은 440억원으로 70%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앞서 지난달 16일 대우증권은 매출액은 2600억원으로 98%, 영업이익은 610억원으로 90%, 순이익은 600억원으로 130%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두 증권사의 의견을 종합하면 ▲삼성전자 9, 14라인이 낸드 플래시에서 비메모리 생산용으로 전환 중이고, ▲내년부터 중국에 낸드 공장을 건설할 예정이고, ▲SK하이닉스의 신규 M12 라인이 가동 예정이며, ▲DRAM 및 NAND 20나노 이하 미세공정 투자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 화학기상증착(CVD) 장비 제조업체
유진테크는 반도체 전공정에 사용하는 화학기상증착(CVD) 장비를 주력으로 생산하는 업체다. 2001년 12월 하이닉스의 의뢰를 받은 장비 개발에 성공한 이후 그동안 매출처 다변화 노력으로 미국, 대만, 중국 등으로 매출처를 다변화해 왔다.
특히 2007년에 삼성전자의 비메모리용 장비를 공급하고, 2008년 플라즈마 장비의 개발 공급으로 제품군을 확대하면서 가파른 성장세의 기술적 역량을 마련했다.
주력 제품인 CVD는 반도체 전공정에서 가스의 화학 반응으로 만들어진 입자를 웨이퍼 표면에 쏘아 절연막이나 전도성막을 형성시키는 장비다. 이 과정을 통해 형성된 얇은 막은 보호막 역할을 한다. 유진테크는 화학기증착장비 중 '저압화학기상증착' 방식 장비(LP-CVD)를 만든다. 기존 배치식 장비는 고온에서 장시간 공정을 수행해야 하고, 미세먼지가 발생해 수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유진테크의 매엽식 LP-CVD는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반도체 미세화, 박막화에 적합해 수요가 크게 느는 추세다.
한편, 유진테크는 삼성전자, 인텔, TSMC, IBM, 글로벌파운드리 등과 함께 450mm(18인치) 웨이퍼 개발에 국내 LPCVD 업체로는 유일하게 참여하고 있다.
◆ 안전한 재무구조 + 화수분형 이익구조 긍정적
유진테크는 안전한 재무구조를 꾸준히 유지해 오고 있다. 2006년부터 부채비율은 꾸준히 100% 이하, 차입금 비중은 25% 이하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최근 몇 해간의 이익 증가로 지난 1분기 말에는 차입금을 모두 상환한 상황이다.
2009년 이후 유진테크는 현금성 자산으로 주주자본을 늘려가는 '화수분형' 기업으로 변모했다. 2009년 이전에는 이익 규모가 미미해 주주자본을 거의 늘리지 못했지만, 2009년 이후 기존 설비만으로 높은 매출 증가율을 기록해 사내에 현금 유입이 급증했다. 가치 투자의 거장 워렌 버핏은 대규모 설비 투자 없이 주주의 자본을 꾸준히 증가시키는 기업을 최고의 투자 대상으로 꼽는다.
◆ PER 11배 & PBR 4.5배
1분기 연환산(최근 12분기 실적 합산), 전일 종가 기준 주가수익배수(PER)는 11.2배로 최근 3년 평균인 13.8배보다 낮다. 주가순자산배수(PBR)는 4.5배로 최근 3년 평균인 3.8배보다 높다. 자기자본이익률(ROE)도 40%로 3년 평균인 30%보다 높다.
◆ 큰 손들이 좋아해...가치투자자문, KB자산, 신영자산이 주요주주
유진테크는 6월 6일 현재(공시 기준) 가치투자자문이 7.6%, KB자산이 6%, 신영자산운용은 5.2%를 보유하고 있다.
가치투자자문은 지난해 3월 23일 공시를 마지막으로 지분 변동 없이 장기 보유 중이다. 따라서 상당한 평가 차액을 거두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9월 지분율이 10.3%에 이르던 신영자산운용은 이후 4차례에 걸쳐 매도를 진행하면서 차익 실현에 나서고 있다.
반면, KB자산은 올해 3월 23일 처음으로 5% 신규 보유를 공시하고, 3월 말과 4월 초에 걸처 지분 1%P를 추가 매수했다. 추가 매수분은 최근 주가 하락으로 상당한 손실을 보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2007년 7.3% 보유를 신규 공시한 후 한 때 지분율이 10%를 넘었던 한국투자밸류는 지난해 12월부터 보유 주식을 매도하기 시작해 지난 3월 말 지분율을 5% 아래로 낮췄다.
◆ 주식MRI 분석결과, 상장사 상위 1%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유진테크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24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1위(상위 1%)를 차지했다.
중장기적으로 이익 성장률이 높아 고성장주에 속하며 재무 안전성은 높아 안전한 편이다. 또한 소비자 독점력이 높아 경기 변동에 관계 없이 현재의 수익성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도체 장비업체] 이슈와 수혜주
2010년 9월 정부는 민-관 합동으로 1.7조원을 투자해 2015년까지 반도체장비 국산화율을 35%로 끌어올린다고 발표했다. 2011년 반도체장비 국산화율은 23%다. 2000년대 중반 국내 업체들의 기술력이 향상되면서 삼성전자, 하이닉스의 국산장비 발주가 늘어나 실적이 개선됐다.
장비산업은 크게 전공정장비, 후공정장비, 검사장비로 구분되며 전공정장비의 투자비중이 54%로 가장 크다.
[관련 기업]
전공정: 주성엔지니어링, DMS, 에버테크노, 참엔지니어링, 케이씨텍, 엘오티베큠, 유진테크, 테스, 국제엘렉트릭, 에스티아이
후공정: 미래컴퍼니, 프로텍, 유니테스트, 테크윙, 제이티
패키징: 탑엔지니어링, 시그네틱스, 하나마이크론, STS반도체
검사: 디아이, ISC, 리노공업, 고영, 프롬써어티, 마이크로컨텍솔
크린룸: 신성ENG, 케이엠, 삼우이엠씨, 휴먼텍코리아
기타: 티씨케이, 세진전자, OCI머티리얼즈, GST, 한양이엔지, 이오테크닉스
[반도체 장비업체] 관련종목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주성엔지니어링 | 7,130원 | ▲130원 (1.9%) | 213 | -223 | -247 | N/A | 1.23 | -19.6% |
DMS | 3,065원 | ▲130원 (4.4%) | 151 | -159 | -149 | N/A | 0.41 | -7.5% |
에버테크노 | 3,450원 | ▼60원 (-1.7%) | 83 | -35 | -38 | N/A | 0.53 | -3.9% |
참엔지니어링 | 2,155원 | ▲5원 (0.2%) | 114 | -58 | -49 | 8.8 | 0.66 | 7.6% |
케이씨텍 | 3,620원 | ▲60원 (1.7%) | 208 | 15 | 20 | 10.6 | 0.66 | 6.2% |
엘오티베큠 | 5,350원 | ▲100원 (1.9%) | 242 | 40 | 32 | 9.8 | 1.08 | 11% |
유진테크 | 19,500원 | ▼700원 (-3.5%) | 752 | 187 | 151 | 11.2 | 4.56 | 40.6% |
테스 | 7,150원 | ▲160원 (2.3%) | 234 | 34 | 45 | 7.4 | 1.14 | 15.3% |
국제엘렉트릭 | 18,000원 | ▼100원 (-0.6%) | 1,306 | 191 | 157 | 6.7 | 2.36 | 26.6% |
에스티아이 | 2,240원 | ▲15원 (0.7%) | 265 | 24 | 23 | 3 | 1.07 | 36% |
미래컴퍼니 | 18,100원 | ▲500원 (2.8%) | 1,008 | 133 | 147 | 8.4 | 2.20 | 23.2% |
프로텍 | 8,200원 | ▲20원 (0.2%) | 149 | 30 | 30 | 3.6 | 1.10 | 30.2% |
유니테스트 | 2,795원 | ▲45원 (1.6%) | 211 | 53 | 49 | 4 | 1.22 | 30.1% |
탑엔지니어링 | 4,870원 | ▲65원 (1.4%) | 200 | 23 | 24 | 6.2 | 0.53 | 8.5% |
시그네틱스 | 3,100원 | ▲175원 (6%) | 623 | 22 | 24 | 20.5 | 1.69 | 8.3% |
하나마이크론 | 8,970원 | ▲1,170원 (15%) | 577 | -40 | -33 | 66.6 | 1.30 | 1.9% |
STS반도체 | 5,360원 | ▲190원 (3.7%) | 944 | 30 | 1 | 20.1 | 1.09 | 5.5% |
디아이 | 1,345원 | ▲50원 (3.9%) | 68 | -12 | -6 | N/A | 0.40 | -3.8% |
ISC | 7,660원 | ▲60원 (0.8%) | 85 | 26 | 20 | 6.3 | 0.94 | 14.8% |
리노공업 | 22,000원 | ▼550원 (-2.4%) | 172 | 67 | 55 | 8.9 | 1.72 | 19.3% |
고영 | 26,050원 | ▲1,150원 (4.6%) | 191 | 38 | 34 | 14.6 | 3.12 | 21.3% |
프롬써어티 | 1,970원 | ▲5원 (0.3%) | 71 | -14 | -29 | N/A | 0.54 | -12.8% |
마이크로컨텍솔 | 2,985원 | ▲35원 (1.2%) | 70 | 15 | 13 | 4.5 | 1.07 | 24% |
신성이엔지 | 1,650원 | 0원 (0%) | 353 | 25 | 21 | 2.5 | 0.32 | 12.9% |
케이엠 | 2,590원 | ▲70원 (2.8%) | 209 | 7 | 7 | 7.6 | 0.46 | 6% |
삼우이엠씨 | 603원 | ▲1원 (0.2%) | 311 | 21 | 4 | N/A | 0.41 | -57.9% |
휴먼텍코리아 | 531원 | ▲6원 (1.1%) | 334 | 8 | 0 | N/A | 0.69 | -173.8% |
티씨케이 | 10,750원 | ▲350원 (3.4%) | 125 | 24 | 21 | 11.2 | 1.73 | 15.4% |
세진전자 | 2,315원 | ▲15원 (0.7%) | 113 | 2 | -3 | N/A | 0.50 | -9.8% |
OCI머티리얼즈 | 43,600원 | ▲1,050원 (2.5%) | 679 | 163 | 108 | 7.5 | 1.40 | 18.6% |
GST | 3,320원 | ▲35원 (1.1%) | 256 | 40 | 37 | 4.4 | 0.86 | 19.8% |
한양이엔지 | 6,330원 | ▲60원 (1%) | 784 | 36 | 24 | 10.6 | 1.39 | 13.1% |
이오테크닉스 | 35,200원 | ▼100원 (-0.3%) | 354 | 24 | 25 | 28.3 | 2.36 | 8.3% |
테크윙 | 6,200원 | ▲270원 (4.5%) | 1,020 | 181 | 125 | 147.3 | 1.93 | 11.4% |
제이티 | 6,990원 | ▼10원 (-0.1%) | 150 | 4 | 2 | 10.4 | 2.44 | 23.4% |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2년 1월~3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유진테크]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 반도체 전(前)공정장비 LP-CVD 전문 제조기업 |
---|---|
사업환경 | ㅇIT산업이 스마트 기기 중심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임에 따라 반도체 설비투자 수요 또한 꾸준할 것으로 전망 ㅇ반도체 장비산업은 다품종 소량체체, 3~4년 마다 새로운 장비 교체 수요 발생 |
경기변동 | ㅇ경기에 매우 민감한 산업으로 전방업체(반도체 제조기업)의 설비투자에 영향을 받음 ㅇ경기에 따른 실적 변동이 반도체 제조업체보다 큼 |
실적변수 | ㅇ전방산업(IT,반도체) 경기 호황시 수혜 ㅇ환율 상승시 수혜 ㅇ삼성전자, 하이닉스의 미세공정화 비중 확대 시 수혜 |
신규사업 | 전(前)공정 장비 국산화 연구, 개발 지속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유진테크]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