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차트 우량주 분석

[V차트 우량주] 세아베스틸, 국내 특수강 1위

단독
편집자주 | V차트(Value Chart) 우량주는 실적과 재무 안전성이 우량한 기업 중에 실적에 비해 주가가 덜 오른 기업을 소개합니다. V차트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재무분석 도구로 재무제표를 차트로 분석할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아이투자 형재혁] 세아베스틸은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보다 33% 늘어난 2조4847억원이다. 영업이익은 42% 늘어난 2973억원, 순이익은 52% 늘어나 2265억원을 기록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판매량 증가, 원가 개선으로 매출과 이익이 모두 큰 폭으로 늘었다. 

하지만 주가는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전일 세아베스틸은 2% 떨어진 4만60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연초 대비 제자리에 머물러 같은 기간 12% 오른 코스피 지수를 밑돌았고, 지난해 8월 기록한 사상 최고가 6만8800원 대비 33% 하락한 상태다.

세아베스틸은 올해도 양호한 실적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을까. 그리고 이와 함께 주가도 사상 최고가를 넘어설 수 있을까.

전일 종가 기준 주가수익배수(PER)는 7.2배로 5년 평균인 8.9배보다 낮다. 순이익 적자를 기록한 2009년은 5년 평균 계산에서 제외했다. 2006년 1679원이던 주당순이익(순이익/주식수)은 5년 만에 3.7배 늘어 지난해 6317원을 기록했다.

주가순자산배수(PBR)는 1.28배로 최근 5년 평균인 0.94배보다 높다. 지난해 실적 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7.5%로 최근 5년 평균인 12.2%보다 5.3%P 상승했다. 5년 평균 ROE 계산에서도 적자를 기록한 2009년은 제외했다.

국내 특수강 1위 업체..현대·기아차 성장 수혜
세아베스틸은 특수강 제조를 주력으로 하는 회사다. 특수강이란 탄소강에 다른 원소를 첨가해 특수 성질을 갖게 한 강철를 말한다. 합금용 특수 원소로는 니켈, 크롬, 몰리브덴, 바나듐, 망간 등이 쓰인다. 세아베스틸은 철스크랩과 합금철을 대륙자원, 동부메탈 등으로부터 조달해 제품을 만든다. 철스크랩과 합금철이 매출 원가의 90%를 차지한다. 지난해 매출 비중은 특수강이 94%, 대형단조 3%, 자동차부품 2%, 기타 1%다.

특수강산업은 자동차, 기계, 조선, 건설 등의 고강도, 고내구성을 요하는 핵심 부품에 사용되는 소재 산업이다. 핵심 부품이란 엔진이나 변속기처럼 주행 때 끊임없이 움직이는 부품들을 말한다. 엔진의 크랭크샤프트와 변속기의 기어, 메인샤프트 등이 대표적이다.

현재 국내에서 자동차 핵심 부품용 특수강을 만들어 공급하는 곳은 세아베스틸이 유일하다. 자동차뿐 아니라 굴삭기 등 건설기계의 유압실린터, 크랭크샤프트 등에도 세아베스틸의 특수강이 쓰인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특수강 시장점유율은 44%다.

[그림2: 주요제품 - 자동차특수강 부품]

[자료: 세아베스틸 홈페이지]

특수강산업은 대규모 장치산업이기 때문에 호경기에 이익률이 급증하지만, 가동률이 낮아지면 높은 고정비를 부담으로 이익률이 급감할 수 있다.

실제로 세아베스틸은 2008년 사상 최대의 매출과 순이익을 기록했지만, 이듬해 세계금융위기 영향으로 실적이 급감한 바 있다. 2009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32% 줄어든 1조2454억원, 영업이익은 99%로 줄어든 14억원을 거뒀다. 특히 전년도 1017억원에 달했던 순이익은 387억원의 순손실로 돌아섰다.  
  
하지만 2010년부터 실적이 가파른 회복세 보여 2010년과 2011년 2년 연속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이는 현대·기아차의 완성차 판매대수 증가로 특수강 수요가 크게 늘어난 결과로 풀이된다. 현대·기아차가 생산하는 자동차의 핵심 부품 가운데 80% 이상이 세아베스틸의 특수강을 소재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올해는 실적 성장세가 다소 둔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현대·기아차가 전 세계에 판매한 차량은 전년보다 16% 늘어난 659만대였다. 하지만 올해 판매 목표량은 700만대로 증가율은 6%다.

사업 잘되니..재무 안전성도 개선
영업 호조로 이익이 늘면서 재무 안정성도 높아지는 추세다. 2009년 3분기 118%였던 부채비율은 지난해 4분기 55%로 낮아졌다. 44%에 달했던 차입금 비중도 지난해 4분기 20%로 떨어졌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이 100% 이상, 차입금 비율이 40% 이상이면 재무 구조가 위험한 것으로 판단한다.

지난해 4분기 유동비율은 158%, 이자보상배율은 10.7배다. 일반적으로 유동비율이 100% 이상, 이자보상배율이 5배 이상이면 재무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익이 늘면서 자산구조도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 이전에는 유형자산 투자에 들어가는 비용에 비해 이익규모가 작아 주로 장기부채를 조달해 부족분을 채웠다. 그 결과 '장기자본>고정자산>자기자본'의 자산구조를 유지했다. 하지만 최근 이익 급증으로 자기자본이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고, 지난해 2분기에는 자기자본이 유형자산 규모를 넘어섰다. 이에 따라 '장기자본>자기자본>고정자산'의 구조를 갖추게 됐다. 장기자본은 장기부채와 자기자본의 합계다.  

    
 
이는 현금흐름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지난해 세아베스틸은 영업활동현금흐름에서 (+), 투자활동과 재무활동 현금흐름에서 (-)의 현금흐름을 기록했다. 이는 영업활동을 통해 사내로 유입된 현금으로 이전에 빌린 차입금을 상환하고, 필요한 투자도 수행하고 있다는 의미다.   

지난 2006년부터 2009년까지는 투자활동현금흐름에서 (-), 재무활동현금흐름에서(+)를 기록했다. 즉, 영업으로 벌어들이는 이익에 차입금을 보태 투자를 지속한 것이다.

◆ 주식MRI 분석결과, 상위 2%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세아베스틸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21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36위(상위 2%)를 차지했다.

중장기적으로 이익 성장률이 높아 고성장주에 속하며 재무 안전성은 높아 안전한 편이다. 또한 소비자 독점력이 높아 경기 변동에 관계 없이 현재의 수익성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철강업계]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철강 생산은 고로와 전기로 방식으로 구분된다. 고로는 철광석을, 전기로는 고철을 녹여 제품을 생산한다.

고로의 수익성이 전기로보다 좋으며 우리나라에선 포스코, 현대제철이 고로를 가동 중이다. 주요 전방산업은 건설, 조선, 자동차, 기계, 전자 산업이다.

[주요 철강기업]
고로: 포스코, 현대제철
전기로: 현대제철, 동국제강, 동부제철, 세아베스틸, 대한제강, 한국철강
열연판매: 부국철강, 삼현철강, 동양에스텍, 문배철강, 대동스틸, 한일철강, 우경철강
냉연판매: 금강철강, 경남스틸
강관: 세아제강, 휴스틸, 현대하이스코
강판: 현대하이스코, 유니온스틸, 동양석판(비상장)
내화물: 포스코켐텍, 조선내화(포스코 납품), 한국내화(현대제철 납품)
생석회: 백광소재, 포스코켐텍
합금철: 동부메탈(비상장), 심팩메탈로이, 동일산업

[철강업계] 관련종목

종목명 현재가 전일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PER PBR ROE
POSCO 371,500 ▲5,000 (1.4%) 391,717 41,960 31,888 10.2 0.86 8.5%
현대제철 103,500 ▲1,500 (1.5%) 152,599 13,067 7,353 12 0.97 8.1%
동국제강 20,400 ▼100 (-0.5%) 59,094 1,819 110 115.2 0.44 0.4%
동부제철 5,830 0 (0%) 29,912 56 -1,169 N/A 0.19 -10.4%
세아베스틸 46,000 ▼950 (-2%) 24,847 2,973 2,266 7.3 1.28 17.6%
대한제강 8,430 ▲730 (9.5%) 9,024 194 131 15.7 0.62 4%
한국철강 26,350 ▲1,400 (5.6%) 10,206 -427 -335 N/A 0.36 -5%
부국철강 1,995 ▼5 (-0.3%) 2,795 95 74 5.4 0.40 7.4%
삼현철강 4,475 ▼5 (-0.1%) 2,123 211 166 4.2 0.63 14.9%
동양에스텍 2,130 ▼20 (-0.9%) 2,074 35 6 32.8 0.38 1.2%
문배철강 1,890 ▼5 (-0.3%) 1,418 30 34 11.6 0.48 4.1%
대동스틸 3,450 ▲25 (0.7%) 1,554 49 31 11 0.59 5.3%
한일철강 15,700 ▲900 (6.1%) 1,506 60 3 109.3 0.20 0.2%
우경철강 3,040 ▼60 (-1.9%) 229 -23 -50 N/A 0.55 -58.4%
금강철강 2,375 ▼45 (-1.9%) 2,891 122 95 4.7 0.53 11.4%
경남스틸 6,530 ▼40 (-0.6%) 3,379 145 94 3.5 0.60 17.3%
세아제강 97,300 ▼200 (-0.2%) 17,117 996 719 8.1 0.62 7.6%
휴스틸 22,000 ▼500 (-2.2%) 5,682 388 330 4.6 0.40 8.6%
현대하이스코 40,800 ▼2,150 (-5%) 69,353 3,458 2,554 12.8 2.14 16.7%
유니온스틸 16,400 ▲50 (0.3%) 19,460 521 105 16.1 0.23 1.4%
포스코켐텍 130,200 ▼300 (-0.2%) 8,685 868 682 8.3 2.35 28.2%
조선내화 64,700 ▼100 (-0.1%) 4,655 319 292 8.9 0.57 6.5%
한국내화 3,185 ▼25 (-0.8%) 2,334 213 131 4.3 0.77 17.9%
백광소재 19,400 0 (0%) 1,280 107 110 4.9 0.55 11.2%
SIMPAC METALLOY 7,850 ▲80 (1%) 1,648 214 182 5.6 0.64 11.4%
동일산업 58,000 ▲500 (0.9%) 5,111 433 381 3.7 0.49 13.3%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1년 1월~12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세아베스틸]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국내 특수강 시장 1위 업체
사업환경 산업구조 고도화로 특수강 비중은 매년 상승 추세, 국내 철강 생산량 중 특수강 비중은 15% 수준으로 선진국의 20~25%에 비해 아직 작음
경기변동 자동차와 연관성이 가장 크고 그 밖에 기계·조선·건설 산업과 관련성 있음
실적변수 국내외 자동차 및 기계·조선·건설 수요 증가시 수혜, 환율 상승시 수혜, 원재료(철스크랩 등) 가격 하락시 수혜
신규사업 조선, 풍력, 기계, 플랜트에 소요되는 대형단조사업 추진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세아베스틸]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1.12월 2010.12월 2009.12월 2008.12월
매출액 24,847 18,675 12,454 18,407
영업이익(보고서) 2,973 2,009 14 1,815
영업이익률(%) 12% 10.8% 0.1% 9.9%
영업이익(K-GAAP) 3,022 2,009 14 1,815
영업이익률(%) 12.2% 10.8% 0.1% 9.9%
순이익(지배) 2,266 1,431 -387 1,017
순이익률(%) 9.1% 7.7% -3.1% 5.5%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7.28
이시각 PBR 1.28
이시각 ROE 17.59%
5년평균 PER 10.61
5년평균 PBR 1.00
5년평균 ROE 8.16%

(자료 :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