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가들의 손절매 원칙 9"팔아야 하나, 더 사야하나?" 최근 증시 급락으로 개인 투자자들의 근심이 깊어지고 있다. 종합지수가 고점 대비 130포인트 가량 급락하는 동안 개인 투자자들은 줄곧 매수했기 때문에 현재 손실이 났을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외국인들은 하루도 거르지 않고 매도세로 일관, 마치 외국인 매물을 개인이 받아낸 양상이다. 자산 분배 차원에서 투자한 해외 펀드 특히 인도 펀드 같은 경우도 국제 증시 동반 하락세로 '헤지' 기능을 하지 못했다. 이제는 이익폭이 급격히 줄었거나, 손실을 걱정해야할 상황인지 모른다. 그렇다면 투자 대가들은 조정기나 ......
-
수익률보다 중요한 펀드 선택 기준은? 3많은 사람들이 펀드를 고를 때 과거 수익률을 가장 많이 본다. 전에 높은 성과를 올린 펀드가 앞으로도 높은 수익률을 안겨줄 것이라고 막연하게 기대하는 것이다. 하지만 과거의 수익률이 미래의 수익률을 결코 보장하지 않는다. 이 부분은 아무리 강조해도 건성으로 듣는경우가 많다. 하지만 실제로 세계적인 평가사인 스탠다드앤푸어스(S&P)사는 과거의 성과가 현재의 성과를 설명하는 정도가 33%에 불과하다고 분석한 바 있다. 이를 확대해서 풀어보면 과거 높은 성과만 보고 선택한 3개 펀드 중 2개는 저조한 성과에 머물렀다는 얘기다. ......
-
대세상승 관점의 재테크 플랜 세워라 2올해는 주식시장 대세상승 추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전제아래 자산관리 및 재테크에 임하는 것이 유리할 듯하다. 시장흐름을 따라가면서 시세차익을 노리는 투자를 하더라도 증권계좌에서 주식잔고를 기본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해 보이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적립식펀드 신규 가입자들은 따라서 적립식펀드의 환매보다는 매수자금 유입이 이어질 것이다. 펀드자금 중 주식형이 2004년3월 5.5%에서 2005년 말에 9.9%로 늘어난 반면, 혼합형과 채권형은 각각 26.2%→19.5%, 33.4%→27.1%로 줄었다. 미국, 영국, 일본은 주식형 ......
-
'새가슴 투자자'를 위한, 펀드 위험 분석법“안정적이면서 수익률 높은 펀드는 없을까?” 답은 ‘거의 없다’이다. 펀드상품은 간접투자 상품이다. 투자에서 수익과 위험은 반비례관계를 보인다. 일반적으로 ‘투자’상품은 ‘고위험-고수익’의 성향을 띤다. ◇ ‘채권형, 혼합형 수익률 만족 못한다면 = 펀드 상품의 경우 채권형에서 채권혼합형, 주식혼합형, 주식형으로 갈수록 위험은 커지고 기대수익도 올라간다. 채권에 비해 변동성이 큰 주식투자 비중이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안정적인 운용을 원하는 투자자는 채권형이나 혼합형에 투자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현저한 수익률 차 ......